다크 모드
본문 바로가기

인디자인 완전초보 처음 실행하기

by 순이하우스 2025. 4. 1.

 

인디자인은 책을 만드는 프로그램입니다만 처음 인디자인을 마주하게 되면 인터페이스의 구성도 복잡해 보이고 각종 패널들과 패널 속에 들어있는 많은 양의 옵션을 접하게 됩니다. 그만큼 책을 만드는데 유용한 기능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니까 너무 두려워 마시고 사용법을 하나하나 익히다 보면 인디자인의 매력을 만끽할 수 있습니다. 처음으로 인디자인을 시작하여 새 문서를 만들고 간단한 내용을 작성한 다음 저장하는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1
[ 인디자인의 작업 영역과 문서 작성 예제 ]

 

완성 파일 미리보기

 

1-1시작하기(처음실행하기).indd
1.07MB

 

 

1. 새 문서 만들기

1. 윈도우의 [시작] 단추를 클릭하여 [인디자인]을 실행하거나 [바탕 화면]에 있는 인디자인 [바로 가기 아이콘]을 더블 클릭하여 인디자인을 [실행]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2

 

2. 프로그램의 [설정값]이 로드되며 인디자인을 실행하는 [로딩창]이 나타납니다.(로딩창은 버전마다 다릅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3

 

3. ❶ 인디자인이 실행되었으면 [새 문서]를 만들기 위해 왼쪽에 있는 ❷ <새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4

 

4. 또는 상단에 있는 메뉴바에서 
❶ [파일] > ❷ [새로 만들기] > ❸ [문서]를 실행해도 [새 문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5

 

5. [세상의 모든 레이아웃]은 [사진]과 [그래픽]을 중심으로 책을 만드는 내용이므로 [용지]를 크게 사용할 것입니다.
❶ [새로 만들기 문서] 대화 상자에서 ❷ [인쇄] > ❸ [사전 설정 모두 보기+]를 클릭하여 [B5]를 클릭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6

 

6. B5가 적당하긴 한데 [책]으로 만들면 좁아 보여서 ❶ [폭]의 치수를 189mm로 수정하고 ❷ 왼쪽 그림과 [옵션]이 동일한지 확인한 후 ❸ <여백 및 단>을 클릭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7

 

7. ❶ [새 여백 및 단] 대화 상자에서 ❷ [모든 설정 동일하게 만들기] 아이콘을 클릭하여 연결을 해제한 후 ❸ 여백의 [아래쪽]만 25mm로 변경합니다. ❹ 아래쪽에는 [페이지 번호]가 들어가므로 약간 키우는 것이며 다른 옵션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❺ <확인>을 클릭합니다.

[모든 설정 동일하게 만들기] 

아이콘이 끊어진 상태라야 여백을 개별적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8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9

 

2. 작업 영역 설정하고 새 페이지 만들기

1. 인디자인을 [처음 실행]하면 [작업 영역]이 [기본 요소]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사용하기 편하도록 변경하겠습니다. 
❶ [작업 영역 전환기]를 클릭하여 ❷ 풀다운 메뉴가 열리면 [고급]을 실행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10

 

2. 고급으로 변경되었으면 ❶ 우측의 [페이지]라는 패널의 이름을 클릭하여 패널을 연 다음 ❷ 다시 한번 [페이지 이름]을 클릭한 상태에서 ❸ 왼쪽으로 드래그하여 [페이지 패널]만 분리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11

 

3. ❶ 패널 그룹에서 분리된 [페이지 패널]을 클릭, 오른쪽으로 드래그하여 ❷ 우측 끝에 위치 시키면 [파란색 수직 안내선]이 생기며 ❸ 이때 마우스 단추를 놓으면 [페이지 패널]이 우측 끝에 긴 수직 형태로 [도킹] 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12

 

4. ❶ [링크]와 [레이어]의 [패널 그룹]에 있는 ❷ 화살표 모양의 [최소화 아이콘]을 클릭하면 ❸ 패널이 열리기 전 [도킹] 된 상태로 되돌아갑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13

 

5. [페이지 패널]의 폭이 너무 넓어서 좁히겠습니다. 
❶ 마우스 커서를 패널과 패널 사이로 가져가면 [양쪽 화살표] 모양으로 바뀌고 ❷ 이때 클릭한 다음 ❸ 오른쪽 끝까지 드래그하여 더 이상 좁혀지지 않을 때까지 [폭]을 줄입니다. 이는 문서 작업 영역을 넓게 쓰기 위해 패널의 폭을 줄이는 것입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14

 

6. [새 문서]를 만들고 [작업 영역]까지 설정하였으므로 [새 페이지]를 만들겠습니다. ❶ [페이지 패널] 하단에 있는 [새 페이지 만들기] 아이콘을 두 번 클릭하여 ❷ 두 페이지를 추가합니다.

인디자인에서는 두 페이지가 서로 마주 보고 있는 상태를 [스프레드]라고 부릅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15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16
아이콘 확인

 

3. 텍스트 프레임 만들기

1. ❶ 지금까지 사용한 도구는 [선택 도구]였습니다. ❷ 이제는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텍스트 프레임]을 만들기 위해 [도구 패널]에서 [문자 도구]를 클릭하여 [선택 도구]를 문자 도구로 전환합니다.

[문자 도구]의 단축키는 [Ctrl] + T입니다. 단축키가 있는 도구나 명령어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17

 

2. 페이지의 [여백 안쪽]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커서의 색상이 [검은색 화살표]로 표시되고 ❶ 좌측 상단 여백 [모서리]에 위치 시키면 검은색이 [흰색]으로 변합니다. ❷ 이것은 [안내선]에 스냅 되었다는 [표시]이므로 클릭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18

 

3. ❶ [클릭]한 상태에서 ❷ 우측 하단 [모서리] 끝까지 드래그하여 [마우스 단추]를 놓으면 ❸ 글 상자인 [텍스트 프레임]이 그려집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19

 

4. [텍스트 프레임]이 생성되었으면 
❶ [마우스 오른쪽 단추] 누르고 ❷ [자리표시자 텍스트로 채우기]를 실행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20

 

4. 텍스트 스레드 만들기

1. ❶ [텍스트 프레임]에 랜덤으로 텍스트가 입력됩니다. ❷ 글씨를 쓰려면 [문자 도구]를 사용하고 [텍스트 프레임]을 제어하려면 [선택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❸ 도구 패널에서 [선택 도구]를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21

 

2. 처음 만든 [텍스트 프레임]과 연결되는 프레임을 만들겠습니다. ❶ [선택 도구]로 [자리표시자]의 [끝 포트]를 클릭하면 ❷ 커서 옆에 [섬네일 텍스트]가 표시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22

[자리표시자]의 [끝 포트]는 다음 프레임에 대한 [스레드]를 나타내는 포트이며 이것을 클릭하여 다음 프레임과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로 [끝 포트]를 클릭하면 텍스트가 넘치지 않더라도 커서 옆에 [섬네일 텍스트]가 표시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23

 

3. ❶ [끝 포트]를 클릭한 상태에서 ❷ 마우스를 [오른쪽 페이지]로 가져가 상단 좌측 [여백 안쪽]에 위치 시키면 마우스 커서가 [흰색]으로 바뀝니다. ❸ 이때 클릭합니다.  주의) 여백 안쪽 모서리를 최대한 정확하게 클릭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24

 

4. [섬네일]의 모양과 다르게 글자가 없는 빈 [텍스트 프레임]이 하나 생성됩니다. ❶ 생성된 프레임이 선택된 상태에서 ❷ [문자] > ❸ [자리표시자 텍스트로 채우기]를 실행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25

 

5. [자리표시자]의 [끝 포트]를 클릭하여 생성한 [텍스트 프레임]은 독자적인 프레임이 아니고 이전 프레임과 서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스토리]의 내용도 서로 연결됩니다. 
이것을 [텍스트 스레드]라고 부르며 ❶ [보기] > ❷ [기타] > ❸ [텍스트 스레드 표시]를 실행하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볼 수 있습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26

 

6. ❶ 안 보일 경우 [선택 도구]로 [텍스트 프레임]을 클릭하면 ❷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스레드]가 표시됩니다.
tip [표준 모드]일 때 [텍스트 스레드]가 보이고 [미리 보기 모드]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27

 

7. 문장의 [글 줄 길이]가 너무 길면 [가독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텍스트 프레임]의 열을 나누어 [글 줄 길이]를 줄일 수 있습니다. ❶ 상단의 [컨트롤 패널]에 있는 [열 수]를 2로 변경하면 ❷ 프레임이 2열로 [분할] 되므로 두 [텍스트 프레임]을 2열로 분할합니다.

[텍스트 프레임]이 2열로 분할되면 열과 열사이의 간격으로 인해 텍스트가 넘치게 되므로 두 번째 [텍스트 프레임]의 [끝 포트]가 [넘치는 텍스트] 표시인 빨간색 +가 표시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28

 

5. 스레드 끊기와 자동 스레드

1. 이번에는 서로 연결된 [스레드]를 끊어서 [연결 해제]하겠습니다. ❶ [선택 도구]로 좌측 프레임 [자리표시자]의 [끝 포트]를 클릭하면 ❷ 이전과 마찬가지로 커서 옆에 [섬네일 텍스트]가 표시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29

 

2. ❶ 이 상태에서 오른쪽 프레임으로 [커서]를 가져가 자세히 보면 커서 옆의 [링크 아이콘]이 끊어진 상태로 보일 것입니다. ❷ 서로 [연결된 상태]를 끊겠다는 [표시]이므로 클릭하면 서로 연결되었던 [스레드]가 해제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30

 

3. 두 [텍스트 프레임] 간에 연결이 해제되었기 때문에 문장 전체가 [왼쪽 프레임]으로 이동하였고 글자가 넘친다는 표시로 [끝 포트]가 [빨간색 +]로 바뀌었습니다. 이것을 [선택 도구]로 클릭합니다.(❶ 한 번 클릭하면 [텍스트 프레임]이 선택되고 ❷ 두 번째 클릭 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31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32

 

4. [넘치는 텍스트]를 클릭한 상태에서 마우스 커서를 빈 [텍스트 프레임]으로 가져가면 ❶ 다시 [링크 연결] 모양으로 변경되며 서로 [스레드] 된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❷ 이때 클릭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33

 

5. 오른쪽 [텍스트 프레임]에 왼쪽의 [넘치는 텍스트]가 넘어간 모습입니다. 이렇듯 [텍스트 프레임] 간의 [연결]을 이을 수도 있고 끊을 수도 있습니다. 
❶ [선택 도구]로 우측 프레임을 클릭하여 선택한 후 ❷키보드의 [Delete] 키를 눌러 삭제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34

 

6. [텍스트 프레임]을 지운 자리에 왼쪽의 [넘치는 텍스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해 보겠습니다. 
❶ 넘치는 텍스트 [빨간색 + 포트]를 클릭한 다음 ❷ 오른쪽 [페이지 중간] 정도를 [Shift] 키 누른 상태로 클릭합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35

 

7. ❶ 페이지의 [중간]을 클릭하였으므로 그곳부터 프레임이 생성되어 텍스트가 넘쳐야 하지만 [Shift] 키를 누르고 클릭한 결과 ❷ [자동]으로 다음 페이지가 [추가]되며 넘치는 글자가 새로 생긴 페이지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36

 

6. 문서 저장하기

1. 지금까지 [새 문서]를 만들어 [텍스트 프레임] 사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배운 내용을 한 번 더 연습해 본 다음 파일을 저장합니다. ❶ [파일] > [저장] 또는 ❷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실행합니다.

인디자인은 책을 만드는 프로그램이므로 그래픽과 레이아웃에 들어가기 전 인디자인으로 문서를 작성하는 기초적인 방법에 대한 맛보기를 실습하였습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37

 

2. ❶ 인디자인 [연습 용 전용 폴더]를 하나 만들어 ❷ 그곳에 [시작하기]라는 이름으로 ❸ 저장합니다. 저장한 파일을 모아 최종적으로 [책]을 만들 것이므로 반드시 [저장]해 주시기 바랍니다.

인디자인 처음실행하기38

 

 

요점 정리

인디자인을 처음 실행하여 새 문서를 만들고 저장하는 방법까지의 과정을 순서대로 정리하였습니다. 이후의 모든 섹션에서도 그림 없이 요점을 정리하여 다시 한번 복습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 [인디자인]을 실행합니다.
2. [파일] > [새로 만들기] > [문서]를 실행합니다.
3. [인쇄] > [B5] > [189mm]를 지정하고 <여백 및 단>을 클릭합니다.
4. [여백 및 단]의 아래쪽만 25mm로 변경합니다.
5. [작업 영역 전환기]를 클릭하여 고급으로 설정합니다.
6. 패널 [그룹]에서 [페이지 패널]만 분리 시켜 우측 끝에 도킹합니다.
7. [페이지 패널]의 폭을 줄입니다.
8. [페이지 패널]의 [새 페이지 만들기] 아이콘을 클릭하여 두 페이지를 추가합니다.
9. [도구 패널]에서 [문자 도구]로 전환합니다.
10. 페이지의 여백 안쪽을 드래그하여 [텍스트 프레임]을 만듭니다.
11. [텍스트 프레임]에 [자리표시자 텍스트로 채우기]를 실행하여 문자로 채웁니다.
12. [자리표시자]의 [끝 포트]를 클릭하여 오른쪽 페이지 좌 상단을 클릭합니다.
13. 오른쪽 페이지에 만들어진 [텍스트 프레임]에 [자리표시자 텍스트로 채우기]를 실행합니다.
14. [보기] > [기타] > [텍스트 스레드 표시]를 실행하여 연결 상태를 확인합니다.
15. [텍스트 프레임]의 [열 수]를 2열로 변경합니다.
16. 좌측 프레임 [자리표시자]의 [끝 포트]를 클릭하여 오른쪽 페이지의 프레임을 클릭하면 [텍스트 스레드]가 해제되어 연결이 끊어집니다.
17. [스레드]의 연결이 끊어지면 텍스트가 한쪽으로 몰려 [넘치는 상태]가 됩니다.
18. [넘치는 텍스트]를 클릭하여 다른 프레임을 클릭하면 다시 [스레드]가 연결됩니다. 이와 같이 [스레드]가 연결되거나 끊어지는 것을 충분히 연습합니다.
19. 오른쪽 [텍스트 프레임]을 삭제한 후 왼쪽 프레임의 [넘치는 텍스트]를 클릭하여 [Shift] 키를 누른 상태로 오른쪽의 [빈 페이지] 중간을 클릭합니다.
20. [텍스트 프레임]은 물론 페이지까지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1. 문서를 [저장] 또는 [다른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인디자인 새로 만들기 문서 대화상자

새로 만들기 문서 대화 상자 ● 문서 사전 설정 : 이전에 저장한 사전 설정과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설정을 표시합니다. ● 의도 : 인쇄, 웹, 모바일 중에서 선택하고 선택한 의도

nomadidea.tistory.com

 

 

 

 

맨 위로 ▲

728x90
반응형

home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