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 모드
본문 바로가기

실업급여(구직급여) 신청방법

by 순이하우스 2025. 2. 7.
실업급여 신청 절차 순서대로 알아보기
'' 실업급여는 무조건 빠르게 신청해야 합니다.'' 실업급여(구직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가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직장을 그만두게 되었을 때, 일정 기간 동안 생계를 유지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지원금입니다. 이 급여는 고용보험을 통해 지급되며, 공식적인 명칭은 "구직급여"입니다. @ 노마드이데아
고용센터내부
깔끔한 고용센터 내부

💻 실업급여 신청자격

➀ (근로자) 상실신고서 및 이직 확인서를 통해 이직 전 18개월간 피보험 단위기간이 180일 이상이고, 이직사유가 폐업, 경영상 필요에 의한 퇴사, 정년, 계약 만료인 것이 확인된 경우

➁ (예술인) 상실신고서를 통해 이직 전 24개월간 피보험단위기간이 9개월 이상이고, 이직사유가 폐업·경영상 필요에 의한 퇴사. 정년, 계약 만료인 것이 확인된 경우

➂ (노무제공자) 상실신고서를 통해 이직 전 24개월간 피보험단위기간이 12개월 이상이고, 이직사유가 폐업·경영상 필요에 의한 퇴사, 정년, 계약 만료인 것이 확인된 경우

콘텐츠바

📌 실업급여 신청절차

❶ 전 직장 인사총무팀에 이직확인서 처리 요청

❷ 공동인증서나 금융인증서 준비

❸ 이직확인서 처리 확인(고용 24 홈페이지 ▶ 실업급여 ▶ 이직확인서)

❹ 온라인 구직신청(고용24 홈페이지 ▶ 자주찾는 서비스 ▶ 구직신청)

❺ 온라인 교육(고용24 홈페이지 ▶ 자주찾는 서비스 ▶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❻ 실업신고(관할 고용센터 방문)

구직등록의 유효기간은 기본 3개월이며, 이력서 작성시 해외취업희망자 선택할 경우 6개월로 설정되게 됩니다.

1

◾구글에서 "워크넷"을 검색합니다.

실업급여1
2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워크넷"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2
3

◾고용 24 홈페이지에 들어오면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3
4

◾"아이디/비밀번호"를 클릭합니다.

실업급여4
5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한 다음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5

만약 회원가입을 하지 않았다면 아래의 "워크넷 회원가입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하거나 워크넷 메인화면 우측상단에 있는 "회원가입" 메뉴를 클릭하여 회원가입을 완료한 후 계속 진행합니다.

 

6

◾로그인에 성공하면 안내창이 나타납니다. "확인"을 클릭합니다.
워크넷을 사용하려면 로그인, 실명인증, 공동인증서등록 등 계속적으로 안내창과 팝업창이 나타나므로 적응이 필요합니다.

실업급여6
7

◾하단의 자주 찾는 서비스에서 "구직신청"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7
8

◾주민등록번호가 확인되어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라는 안내창이 나타납니다.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8
9

◾주민등록번호와 이름을 입력한 다음 "실명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9
10

◾실명인증 후 회원정보 동기화를 위해 자동 로그아웃 된다는 안내창이 나타납니다.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10
11

◾[실명인증 및 고객정보 등록] 요청이 완료되었다는 안내창이 나타납니다.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11
12

◾메인페이지 우측에 있는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12
13

아이디/비밀번호를 클릭합니다.

실업급여13
14

◾다시 한번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한 다음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14
15

◾로그인에 성공하였다는 안내창이 나타납니다.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15
16

◾메인페이지 하단에 있는 자주 찾는 서비스에서 "구직신청"을 다시 한번 클릭합니다.

실업급여16
17

◾이 메뉴는 인증서로 로그인해야 한다는 안내창이 나타납니다.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17
18

◾간편인증,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인증수단을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만 여기에서는 옛 "공인인증서"인 공동인증서를 이용해 로그인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실업급여18
19

◾인증서 입력(전자서명) 팝업창이 나타납니다. 공동인증서가 저장되어 있는 장치를 선택합니다.

실업급여19
20

◾인증서 암호를 입력한 다음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20
21

◾인증서가 등록되지 않았으므로 인증서를 등록해야 한다는 안내창이 나타납니다.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21
22

◾공동인증서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개인회원 정보 확인이 필요합니다. "휴대폰인증"을 클릭합니다.
◾휴대폰 인증 이외에도 금융인증서, 간편인증, 아이핀, 카드인증 등의 개인회원 정보 확인 방법이 있습니다.

실업급여22
23

◾통신사를 선택한 다음 "전체 동의"에 체크 표시 한 후 "문자(SMS)로 인증하기"를 클릭합니다.

실업급여23
24

◾이름, 주민등록번호, 휴대폰번호, 보안문자를 입력한 다음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24
25

◾휴대폰으로 인증번호가 발송됩니다. 이 인증번호를 확인한 다음 팝업창에 인증번호를 입력한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25
26

◾로그인정보와 일치 확인되었다는 안내창이 나타납니다.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26
27

◾회원정보 페이지 하단에 있는 "공동인증서 등록"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27
28

◾공동인증서 팝업창이 나타나면 장치를 선택한 후 인증서를 확인한 다음 인증서 암호를 입력하여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28
29

◾신원확인용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라는 안내창이 나타납니다.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한 다음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29
30

◾인증서 등록이 완료되었다는 안내창이 나타납니다.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30

 

31

◾아래의 그림과 같이 공동인증서가 등록된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31
32

◾공동인증서가 등록되었으므로 구직신청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메인페이지에서 고용24 홈 버튼(로고)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32



33

◾하단 자주찾는 서비스에서 "구직신청"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33
34

◾이 메뉴는 인증서로 로그인해야 한다는 안내창이 나타납니다.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34
35

◾"공동인증서"를 클릭합니다.

실업급여35
36

◾인증서를 선택한 후 인증서 암호를 입력한 다음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36
37

◾로그인에 성공하였다는 안내창이 나타납니다.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37

구직신청 전에 이직확인서 확인이 필요합니다. 상단메뉴에서 실업급여⮞이직확인서를 클릭하여 확인합니다.

실업급여37-2
38

◾나의 구직신청정보 페이지에서 "고용24 구직신청하기"를 클릭합니다.

실업급여38
39

◾구직신청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좌측에 있는 메뉴에서 "이력서/자기소개서 관리"를 클릭하여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먼저 작성한 다음 구직신청 메뉴를 눌러 이곳에서 기본정보, 희망조건, 보유역량을 입력합니다.

  1. 기본정보에는 인적사항과 학력사항을 적습니다.
  2. 희망조건에는 희망직종, 희망 지역 및 임금,  기타 희망사항을 입력합니다.
  3. 보유역량에는 경력사항, 주요활동 및 수상경력, 보유 자격면허, 컴퓨터 활용, 직무능력, 운전 및 차량소유에 대하여  모두 입력합니다.

실업급여39
40

◾보유역량을 입력하려면 지금까지 근무했던 회사나 현장을 입력해야 하므로 복잡할 수 있습니다. 이때 "고용보험가입 이력보기"를 클릭하여 한번에 가져올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40
41

◾고용보험가입 이력보기 팝업창의 좌측 체크박스에 필요한 정보만 체크하여 "적용"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41
42

◾고용보험 가입이력에 있는 내용 중에서 체크표시한 내용이 모두 활성화됩니다. 이곳에서 직급/직책만 입력하면 됩니다.
◾빨간점이 있는 항목은 반드시 입력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가며 직종이나 임금 등을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42
43

◾개인정보 동의에 동의함, 그 밖의 취업지원 기관 제공 동의를 선택한 다음 "제출"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43
44

◾구직신청을 하겠냐는 안내창이 나타납니다.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44
45

◾구직신청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는 처리완료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이것으로 구직신청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실업급여45
46

◾결과가 궁금하시면 바로 아래에 있는 "구직등록확인증 출력"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46
47

◾아래와 같은 구직등록 확인증을 출력하거나 저장할 수 있습니다.(저장하거나 출력할 필요는 없습니다. 확인만 해주세요.)

실업급여47

 

✔ 지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과 실업신고

지금까지 워크넷에서 구직신청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수많은 안내창과 절차들이 복잡하게 전개되지만 순서대로 진행하면 무리 없이 신청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구직급여 신청자를 위한 온라인 교육과 실업신고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수급자격 신청자 교육은 고용센터에 방문하여 현장 교육을 받을 수 있지만 온라인으로 받는 것이 훨씬 교육적이고 편리합니다.

콘텐츠바
2-1

◾메인페이지 하단의 자주찾는 서비스에서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2-1
2-2

◾실업급여 부정수급에 대한 처벌 등 관련 안내창이 나타납니다. 읽어보신 후 닫기를 클릭합니다.

실업급여2-2
2-3

◾온라인 동영상교육 안내 사항이 표시됩니다.

  • 교육 종료 후 14일 이내에 고용센터에 방문하여 수급신청을 안 하면 교육이 소멸됩니다.
  • 동영상을 틀어놓고 30분이 초과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됩니다.
  • 음소거를 하고 동영상을 보더라도 인정이 안된다고 하니 주의 바랍니다.

실업급여2-3
2-4

◾하단에 있는 "동영상 시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2-4
2-5

◾실업급여 신청 예정자만 유효한 교육이라는 안내창이 나타납니다.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2-5
2-6

◾구직급여 신청자를 위한 온라인 교육 동영상이 실행됩니다.

  • 모두 9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가 끝날 때마다 다음으로 진행하는 화살표 버튼을 클릭해야 합니다.
  • 단계별 5분 정도의 짧은 동영상이며 실업급여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교육 자료입니다.

실업급여2-6
2-7

◾동영상 재생이 종료되면 닫기 버튼을 클릭하여 창을 닫습니다.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페이지의 교육결과에서 수료증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2-7
2-8

◾수료증은 아래의 그림과 같습니다. 확인용임으로 출력하거나 저장할 필요는 없습니다.

실업급여2-8
2-9

◾실업급여 ⮞ 수급자격 ⮞ 수급자격 신청서 인터넷 제출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2-9
2-10

온라인 제출이 가능한 경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수급자격 신청서 인터넷 제출" 후에도 본인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로 방문해야 한다고 하니 온라인으로 작성할 필요는 없지만 고용센터에서 시간을 단축할 수는 있습니다.

◾하단에 있는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업급여2-10
2-11

인터넷 제출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2-11
2-12

◾구직신청과 온라인교육까지 마쳤다면 수급자격 신청서 인터넷 제출 여부와 관계없이 즉시, 관할 고용센터로 향합니다.
◾실업급여는 신청일로부터 2주 후 8일치만 지급되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리 신청을 완료해야 급여를 수령할 수 있습니다.

구비서류는 신분증만 지참하시면 됩니다.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실업급여2-12
 

2-13

🖥️ 실업신고 절차

❶ 관할 고용센터에 가시면 보통 접수하는 층과 교육하는 층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접수하는 층을 찾아가서 번호표를 뽑고 대기하고 있다가 호출하면 그 자리에 가서 앉아 신분증을 제출합니다.

❷ 본인소유의 이직확인서 처리여부와 사업자 등록이 있는지 휴업한 상태인지 확인하고 수급자격 확인서 및 각종 동의서를 묶어서 작성하라고 합니다.

❸ 서류를 받아서 서식 작성하는 부스로 와서 차분하게 내용을 작성하고 날짜 기입, 서명합니다.

❹ 작성을 완료하면 다시 번호표를 뽑아 대기합니다.

❺ 호출하면 다시 가서 작성한 것을 신분증과 함께 제출합니다. (처음에 상담한 창구와 다릅니다. 랜덤으로 지정됩니다)

❻ 작성이 잘못되거나 미흡한 부분에 형광펜으로 마킹하여 추가 작성하라고 합니다. 이때 그 부분만 추가로 작성합니다.

실업급여2-13
 

◾수급자격 신청서 제출 처리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설문지를 주면서 2주 후에 오라고 합니다. 실업급여 신청일이 2월 5일이었기 때문에 2주 후인 2월 19일에 방문하라는 내용임을 알 수 있습니다.

➀ 수급자 재취업지원 설문지(작성본) ➁ 신분증 ➂ 통장

통장은 계좌번호만 알고있으면 되고 설문지는 당일 다시 지급합니다. 신분증은 필수.

실업급여2-13-2

 

" 실업급여는 무조건 빠르게 신청해야 합니다. "

🖥️ 지금까지 실업급여(지금은 구직급여라고 부르더군요!) 신청순서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실업급여는 무조건 빨리 신청해야 빨리 받을 수 있습니다. 실직 후 1개월 후에 실업급여를 신청하면 5주동안 아무런 수입 없이 구직생활을 해야 된다는 점을 인지하여 신속하게 실업급여를 신청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맨 위로 ▲

 

 

 

추천글 바로가기

 
 

재취업 활동 온라인 취업 특강 수강하기

HDR 사진 갤러리 (닉 컬렉션 Nik Collection)실업급여 수급자는 실업급여 신청 2회차부터 실업인정을 받기 위해 구직활동을 포함한 재취업 활동을 해야 합니다.이때, 구직활동 외에도 자영업 준비활

nomadidea.tistory.com

 

728x90
반응형

home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