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converter에서 보정을 완료한 컬러 스케치 작품

13년 전에 만들었던 흑백 스케치와 컬러 스케치
아래 오른쪽에 보이는 이미지는 13년 전에 만든 컬러 스케치 작품입니다. 원본 이미지에서 선을 추출하면 왼쪽 이미지처럼 흑백 스케치가 만들어지며, 이 흑백 스케치와 사진 원본을 블렌딩(blending)하면 최종적으로 오른쪽과 같은 컬러 스케치가 완성됩니다. 다만, 이미지의 해상도가 낮아 작은 화면에서는 차이가 크지 않지만, 확대해보면 퀄리티가 많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Uniconverter에서 옛날 사진 복원 실행
Uniconverter의 옛날 사진 복원 AI 기능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컬러 스케치가 엄청난 퀄리티로 보정되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원본에서는 희미하고 흐릿했던 이미지가 복원된 결과물에서는 선명하고 깨끗하게 변하는 모습을 보며, 지난번에 "이미지 보정의 끝판왕"이라고 소개했던 Uniconverter의 성능이 결코 과장이 아니었음을 다시 한번 실감했습니다. AI 기술이 적용된 복원 결과를 직접 확인하면서, 오래된 저화질 이미지도 마치 새롭게 촬영한 사진처럼 되살아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원본과 결과의 디테일한 비교
실제 크기로 확인해야 원본과 복원된 결과물의 차이를 확연하게 느낄 수 있기 때문에, AI 이미지 인핸서에서 원본과 결과 창만 따로 잘라 비교해 보았습니다. 왼쪽의 원본 이미지와 오른쪽의 복원된 이미지 사이의 뚜렷한 차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결과 창에서는 코 밑에 Uniconverter의 워터마크가 보이는데, 이는 AI 보정 기능을 적용한 결과를 그대로 보여줍니다.
이전 게시글에서도 설명했듯이, 최종 내보내기(export) 시에만 크레딧이 소모되기 때문에, 크레딧을 사용하지 않고도 미리보기 상태에서 다양한 테스트를 해볼 수 있다는 점이 매우 유용합니다.

돌아온 13년전 컬러스케치 작품
최종적으로 어떤 배경에도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도록, 이미지의 배경을 투명 처리하였습니다. 요즘은 포토샵뿐만 아니라 AI 기반의 웹사이트에서도 클릭 한 번으로 배경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지만, 아래 이미지는 고전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수작업으로 투명 처리한 작품입니다. 위의 예제는 약간 확대된 상태라서 선명도가 살짝 떨어져 보이지만, 샤픈(Sharpen) 효과를 한 번 적용하니 디테일이 더욱 또렷하게 살아났습니다. 이렇게 보정된 이미지는 다양한 디자인 작업에 활용할 수 있으며, 원본보다 더욱 깔끔하고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전에 소개했던 "사진 복원 끝판 왕 Uniconverter" 게시물에 보면 Uniconverter의 사용법에 대하여 예제를 들어 자세하게 설명해 놓았습니다. 무료로 50크레딧까지 사용할 수 있으니 직접 체험해 보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지금처럼 이미지 보정하는데 10크레딧이 소요되니까 다섯 번은 사용할 수 있을 겁니다. 10년도 훨씬 전 에는 커 보이던 사진이 지금은 작아서 인쇄하기엔 품질이 너무 낮아 문제가 있었는데 이러한 AI 기술 덕분에 옛날 사진도 얼마든지 복원하여 사진으로 출력하는 세상이 된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13년 전 아이유 컬러스케치 아트웍을 복원하는 놀라운 결과물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 사진 복원 끝판 왕 Uniconverter" 게시글을 아래에 링크 걸어 놓을 테니 꼭 한번 따라 해서 AI의 보정 능력을 직접 체험해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추천글 바로가기
포토샵 선따기 2011년 포스팅 리마인드
2011년 네이버 블로그에 게시했던 이미지 선 따기 및 포토샵 액션 제작위의 내용 역시 2011년 네이버 블로그에 게시했던 포토샵을 활용한 이미지 선 따기 및 액션 제작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글자
nomadidea.tistory.com
'IT·인터넷'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케치업에 대하여 (0) | 2025.02.26 |
---|---|
증명 사진 복원 과정(얼굴 중심) (0) | 2025.02.23 |
사진 복원 끝판 왕 Uniconverter (0) | 2025.02.21 |
웨일 다운로드 중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0) | 2025.02.20 |
티스토리 표에 삽입된 이미지 위쪽 여백 없애기 (0)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