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 모드
본문 바로가기

인디자인 스토리의 구성

by 순이하우스 2025. 3. 15.

인디자인에서 스토리는 하나의 텍스트 프레임이나 두 개 이상의 스레드 된 텍스트 프레임에 들어 있는 전체 문자를 말하며 단락으로 구성된 긴 글을 의미합니다. 문서 전체가 하나의 스토리로 이루어질 수 도 있고 한 페이지에 수십 개의 스토리가 존재할 수 도 있습니다. 텍스트 프레임을 기준으로 글이 시작해서 글이 끝난 부분 까지를 스토리라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❶ 단락 음영 : 단락의 문자열에 배경 색을 삽입합니다.
❷ 단락 테두리 : 단락의 문자열을 감싸는 테두리를 만듭니다.
❸ [글 줄 길이] : 한 페이지(또는 단락)에서 가로의 길이
tip 너무 길면 눈이 피곤하며 읽기 힘들어지므로 30~35자가 적당하고 [글 줄 길이]를 짧게 하려면 2단 또는 3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❹ Enter : 단락을 분리하여 끝맺음 합니다.
❺ 행간 : 글자 세로 방향의 간격
❻ 단락 끝 : Enter를 쳤을 때 단락을 분리하여 끝맺음 합니다.
❼ 문자열 정렬 : 왼쪽 정렬, 가운데 정렬, 오른쪽 정렬, 균등 배치, 제본 영역의 방향 등으로 정렬합니다.
tip 가독성은 왼쪽 정렬이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❽ 이전 공백과 이후 공백 : 단락 위쪽과 아래쪽의 여백을 조정합니다.
❾ 스토리 끝 : 전체 문장의 끝맺음을 의미하며 [문자] > [숨겨진 문자 표시]를 실행하면 #으로 표시되고 하나의 텍스트 프레임이나 스레드 된 두 개 이상의 텍스트 프레임에 하나 씩 존재합니다.
tip 각주는 스레드와 관계없이 스토리 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❿ 들여쓰기 위치 : 삽입된 지점 이후의 행부터 단락이 끝날 때까지 들여쓰기 됩니다.
⓫ [Shift]+Enter(강제 줄 바꿈) : 소프트 리턴이라 하며 단락 안에서 행을 분리합니다.
⓬ 밑줄 : 문자에 밑줄을 생성하여 두께 및 오프셋을 조정, 강조 효과로 응용하며 글자의 아래에 표시됩니다.
⓭ 공백 : 스페이스키를 누르면 벌어지는 일반적인 띄어쓰기
⓮ 단락 경계선 : 단락과 단락 사이를 분리할 수 있는 경계선으로 단락의 어디든지 오프셋을 이용하여 수평선을 만들 수 있습니다.
⓯ 글리프 : 특수 문자를 입력합니다.
⓰  : 키보드에서 Tab키를 눌렀을 때 글자와 글자 사이의 간격

 

 

 

 

맨 위로 ▲

728x90
반응형

home top bot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