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 모드
본문 바로가기

인디자인 문서의 구성과 용어 정리

by 순이하우스 2025. 3. 16.

인디자인의 문서에 글자를 입력하려면 텍스트 프레임, 일명 글 상자를 문자 도구로 드래그하여 만들거나 기존의 빈 그래픽 프레임을 선택 도구로 더블 클릭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문자 도구로 빈 그래픽 프레임을 클릭해도 즉시 문자 입력 상태로 전환됩니다. 텍스트 프레임 안에는 글자, 표, 각종 프레임, 그래픽 등 다양한 개체를 삽입할 수 있고 이동, 회전, 크기 변경과 같은 개체의 변형이 자유로워 편집자가 생각하는 그대로 문서를 디자인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프레임의 구조

각 부의 명칭

 

❶ 시작 포트 : 스토리 앞부분에 있는 첫 번째 텍스트 프레임의 시작 포트
❷ 끝 포트 : 다음 프레임에 대한 스레드를 나타내는 끝 포트
❸ 텍스트 스레드 : 텍스트 프레임 간의 연결 상태 여부를 나타냅니다.
❹ 시작 포트 : 이전 프레임에서의 스레드를 나타내는 시작 포트
❺ 넘치는 포트 : 넘치는 텍스트를 나타내는 끝 포트
❻ 프레임 핸들(모서리) : 프레임의 폭과 높이를 동시에 조정할 수 있는 조절점입니다.
tip 내용에 맞춰 빠르게 프레임을 조정하려면 모퉁이 핸들을 더블 클릭합니다.
❼ 프레임 핸들(높이/H) : 프레임의 크기를 세로 방향으로 조정합니다.
❽ 프레임 핸들(폭/W) : 프레임의 크기를 가로 방향으로 조정합니다.
❾ 회전 커서 모양 : 커서의 모양이 굽은 양 방향 모양일 때 프레임을 회전시킬 수 있습니다.
❿ 인 세트 간격 : 텍스트 프레임 옵션에서 조정하는 글자와 텍스트 프레임 테두리 사이의 간격을 말합니다.
⓫ 열 수 : 텍스트 프레임 옵션에서 텍스트 프레임의 열을 분할합니다.
⓬ 열 간격 : 열을 분리하였을 때 열과 열 사이의 간격입니다.
⓭ 노란색 핸들 : 클릭하면 노란색 다이아몬드가 표시되어 모서리를 둥글게 조정하는 핸들입니다.
⓮ 노란색 다이아몬드 : 노란색 핸들을 클릭하면 나타나며 클릭 후 드래그하여 4면의 모서리를 둥글게 만들 수 있고 [Shift] 키를 누른 채 드래그하면 모서리 별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개체] > [모퉁이 옵션]과 같습니다.)
⓯ 파란색 핸들 : 개체를 텍스트에 고정시키는 앵커입니다.
⓰ Opentype 속성 : 더 많은 문자 옵션을 탐색하여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텍스트 프레임과 그래픽 프레임

 

 

용어 정리

프레임의 다양한 표현

1. 프레임 : 개체를 담고 있는 틀 즉, 모든 텍스트와 그래픽 각종 오브젝트는 이 프레임 속에 들어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이틀을 벗어나 표현될 수 없습니다.
2. 자리표시자 : 프레임의 크기와 모양을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도록 선과 포트, 핸들과 같은 조절점으로 이루어진 바운딩 박스를 말합니다.
3. 컨테이너 : 벡터 개체인 패스, 노드, 핸들이 들어있는 틀을 표현하는 용어이며 그래픽 프레임도 그래픽 컨테이너라고 부릅니다.

 

 

 

 

맨 위로 ▲

728x90
반응형

home top bottom